2025년 최저시급은 ?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수 있는 2025년 최저임금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최저임금은 9,860원입니다.
이는 동결된 2024년 최저임금(9,860원)과 같습니다 -.
월급으로 환산하면 어떻게 될까요?
주 40시간 근무(월 209시간) 기준
9,860원 × 209시간 = 2,062,740원
즉, 2025년 최저임금 월급은 2,062,740원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저임금이 동결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저임금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경제 불확실성, 자영업자 부담, 노동시장 안정이 주요 이슈로 다뤄졌습니다.
특히 영세 자영업자와 기업들은 추가 인상이 고용 감소와 해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걱정했습니다. 반면 노동계 측은 물가 상승을 고려한 인상을 주장하였으나, 결국 2024년과 같은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결정됐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최저임금위원회로 바로가기 됩니다.
최저임금 동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근로자 및 아르바이트생
시간당 임금이 오르지 않으므로 실질 소득이 증가하지 못합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오히려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자영업자 및 기업
인건비의 추가 인상이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소비력이 위축되면 매출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최저임금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는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
2026년에는 최저임금이 다시 협상을 앞두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경제 성장률, 노동 시장의 변화 등이 고려될 예정입니다.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믿는 이들과 동결 또는 삭감을 해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 간의 논쟁이 계속될 예정입니다.
2025년 주휴수당 얼마?
2025년 주휴수당, 얼마를 받게 되나요?
2025년에 받게 될 주휴수당에 대해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파트타임 또는 임시직 근로자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정보입니다! 읽어보세요!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수당은 한 주에 정해진 일수를 성실히 근로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 휴일입니다.
즉,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하루의 추가 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2025년 주휴수당 계산 방법
2025년 최저 시급은 9,860원으로 동결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주휴수당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 : (하루 근무 시간) × (시급)
예를 들어 하루 8시간, 주 5일(총 40시간) 일하는 경우:
8시간 × 9,860원 = 78,880원
즉, 매주 78,880원의 주휴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주휴수당 계산기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https://shiftee.io/campaign/weeklyPaidHolidayPayCalculator
주휴수당 계산기 | 시프티
알바 주휴수당 계산해보세요
shiftee.io
유급 주휴일을 받을 수는 없나요?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가 받을 수 있지만, 일부 경우 자격이 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주당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경우
휴가 없이 결근하거나 근무일을 지키지 않는 휴가를 사용하는 경우.
계약서에 주휴수당이 포함된 경우(단, 명확히 명시해야 함) 계약에 주휴수당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주의 사항
일부 고용주는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려고 “우리는 지급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어요,
하지만 법적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책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24 생활기록부 조회 바로가기 (1) | 2025.02.06 |
---|---|
실업급여 신청하기, 실업급여 모의계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1) | 2025.02.05 |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방법 신청 자격 알아보자 (4) | 2025.02.04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채용공고 알아보자 (0) | 2025.02.04 |
복지로 2025년 영유아 보육서비스 신청하기 (보육료, 양육수당) (1)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