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알기

정부24 전입신고 : 인터넷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by nopda 2025. 2. 6.
728x90

전입신고란 ?

 

거주지 변경이란 무엇인가요?

 

이사하셨나요? 그렇다면 전입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전입신고는 새로운 곳으로 이사한 후 거주지를 변경하는 절차이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요.
오늘은 전입신고 방법과 필요한 서류,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주소 변경이란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가요?


주소 변경은 이사 후 14일 이내에 해야 하는 법적 의무 사항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주민등록법에 따라 최대 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이사를 근거로 하는 각종 행정 혜택(대출, 교육, 복지 등)을 신청할 수가 없습니다.
각종 우편물 및 각종 행정 서비스 수령의 편의성 향상

2. 거주지 변경 신고 방법(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주지 변경 신고는 온라인(정부24) 또는 방문(가까운 주민센터)으로 할 수 있어요.
아래에서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골라보세요!

 


온라인 전입신고(정부24 간편)
온라인 신청 가능 대상:
세대주 또는 동일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세입자(임차인)만 신청 가능합니다(소유자 거주자도 신청 가능).
임대인은 대리 신청 불가합니다.

 

정부24 전입신고 바로가기

 

온라인 신청 방법 안내(정부24 이용)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
접속 후 로그인하세요 (공인인증서, 간편인증 등 필요)
로 이동하여 검색창에서 “전입신고”를 입력합니다.


“전입신고 신청”을 누르시고 신청서를 작성하세요.
임대차 계약서 또는 소유권 등기부등본 첨부하세요
신청 완료 후 결과 확인하기 (처리 시간: 1~2일 소요)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정부24 홈페이지로 바로가기 됩니다.



온라인 신청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민센터 방문 필요 불필요
주말 및 공휴일에도 신청가능

 

시민 센터에서 방문 전입 신고하기
방문 신청 시 필요한 서류 안내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임대차 계약서(전대차 시 필요, 자가 소유자의 경우에는 토지 등기부등본)
전입신고서(주민센터에 비치, 현장 작성 가능함)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아래 이미지의 사이트로 바로가기 됩니다.

 


 방문 신청 방법
가까운 주민센터(동사무소) 직접 방문
전입신고서 작성 및 서류 구비 제출

 즉시 접수 및 처리

방문 신청의 장점
즉시 처리되므로 신속한 처리 진행
 공인인증서가 필요 없고 신분증만 있으면 된다.


 3. 신청 상태 확인 방법
신청이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https://www.gov.kr/main?a=AA020InfoSidoCappViewApp&HighCtgCD=&CappBizCD=30500000005&tp_seq=

 

전입신고 확정일자 부여 신청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전입신고 확정일자 부여 신청 전입신고 확정일자 부여 신청 정보 신청방법, 처리기간, 수수료, 신청서, 구비서류, 신청자격 정보 제공 신청방법 인터넷, 방문 처리기간 즉시(근무시간 내 3시간)

www.gov.kr

 

온라인 확인 방법
 정부24 → 로그인 → **“민원신청 확인”**을 클릭하여 신청 진행 상황을 확인하세요.

오프라인 확인 방법
가까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확인 요청하기

주소 변경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주민등록표 등본'에 새 주소가 반영되어 있어요.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